웹소설작가

웹소설 작가되기, 웹소설 트렌드와 클리셰 분석하기

이작가야_ 2022. 2. 24. 10:30
반응형

웹소설 트렌드와 클리셰 분석하기에 관한 글입니다.
언제가 됐든, 잘 팔리는 웹소설 작가가 되고 싶으시다면, 끝까지 꼼꼼히 읽어주세요.
그럼 지금부터 웹소설 트렌드와 클리셰 분석하기에 대해 풀어 보겠습니다. (ღ✪v✪)
잘 따라와 주세요!☆彡





전 포스팅에서 웹소설의 장르에 관해 알아보았던 것 기억하시죠?
장르를 정했다면, 그 다음은 시장 조사를 해야 합니다.
여기서 시장 조사란, 내가 앞으로 집필하게 될 장르가, 요즘 어떤 트렌드로 강세인지 알아보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웹소설은 독자가 만족하는 글을 써야 한다고 했던 것 기억하시나요?
웹소설 트렌드를 알아보는 것도 그와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클리셰! 영원한 숙제죠!
가끔은 아주 독창적인 글보다, 클리셰가 더 잘팔리는 작품이 될 수 있다는 것!
같은 클리셰라고 할지라도, 작가가 어떤 방식으로 풀어가느냐에 따라 독자에게 사랑을 받을 수 있겠죠!
웹소설에서 만큼은 트렌드가 어떻게 보면 클리셰와 같은 맥락이지 않을까 싶습니다.(ღ✪v✪)

그럼 좀 더 자세히 웹소설의 트렌드와 클리셰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죠!


 

 

웹소설 작가되기, 웹소설 트렌드와 클리셰 분석하기

트렌드란?

▶ 추세, 독자들이 작품을 읽도록 이끄는 원동력
▶ 웹소설 시장의 트렌드는 다채롭고 변화무쌍하며 빠르게 이동한다. 따라서 자칫 한눈판 사이 시장에 뒤처질 수 있으니 웹소설 플랫폼의 동태를 항상 주시하고 살펴야 한다.
▶ ‘연예계’, ‘재벌가’, ‘법정’ 등같이 소재나, ‘역하렘’, ‘상처남’, ‘카리스마남’, ‘계약결혼’ 등 캐릭터의 관계성이 트렌드가 될 수 있다.

<트렌드를 읽는 기술>
▶스테디셀러와 최신 인기작을 읽고 비교하면서 트렌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읽으며 파악하기
▶플랫폼 별 흥하는 트렌드가 다르므로 나와 장르가 맞는 플랫폼 찾기
▶독자 관점이 아닌 배우는 자세로 읽기 (독자처럼 읽으면 아무것도 얻을 수 없다. 웹소설은 읽으면서 그 소설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내 것으로 흡수해 철저히 이용하기 위해 읽는 것이다.)

 

 

 

클리셰란?

▶ 영화, 노래, 소설 등의 문학이나 예술 작품에서 흔히 쓰이는 소재나 이야기의 흐름.

<CHECKPOINT. 클리셰>
▶ 친숙함과 특별함 사이에서 중심 잡기
▶ 감성을 자극하며 카타리시스를 극대화하는 클리셰
▶ 디테일이 신선하고 공감을 불러 일으키는 클리셰
☞ 로맨스 클리셰 : 외모, 학벌, 돈 모든 걸 가진 남자 주인공이지만, 상처가 있다. 남녀 주인공은 앙숙이었다가 결국, 사랑에 빠진다.
판타지 클리셰 : 주인공은 찌질하거나 망나니이고 매우 후회스러운 과거를 가지고 있다. 주인공에게만 특별한 능력이 있다.
* 약간 활용한다면 익숙한 내용으로 친근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지만, 과도한 이용은 자칫 작품을 뻔하게 만들 수 있다. (* 표절 위험)

트렌드 분석하는 방법

▶ 플랫폼 성향에 따라 또는 장르에 따라 인기 작품을 분석한다.
▶ 선정한 웹소설 인기 작품의 제목, 작품 소개, 무료 회차 정도만 읽고 분석해 보자.
▶ 트렌드 분석의 핵심은 읽고, 정리하는 것부터 시작이다. [이왕이면 필사를 해보는 것도 추천!]
▶ 다음을 중점으로 두고 분석해 보자!
① 제목 : 작품의 특징을 어떻게 살렸는지, 제목에 어떤 키워드가 담겼는지 정리(서사형, 감성 자극형, 어그로 형, 호기심 유발형 등 유형별로 분석)
② 키워드 : 키워드를 적고, 해당 키워드를 어떤 식으로 조합하고 풀어냈는지 분석
③ 작품소개(로그라인) : 작품 소개는 제목만큼 중요하다. 어떤 방식으로 작품의 매력을 담았는지 본다. 대사가 들어갔는지, 분량은 얼마나 되는지, 어떤 점을 강조하는지, 독자는 어떤 기대하게 될지 빠짐없이 나열해 본다.
④ 도입부 포인트 : 첫 장면에서 독자를 어떻게 유혹하는지 분석. (사건부터 몰아붙이는가? 배경을 잔잔히 묘사하는가? 주인공의 심리를 따라가는가? 스릴러 장치를 이용해 반전을 주는가?)
⑤ 주인공 설정 : 주인공의 매력을 어떤 방식으로 보여주는지. (캐릭터 특징, 최종 목표, 관계 설정)
⑥ 회차 플롯 : 스토리 전개 방식과 사건을 얼마나 보여주고 장면은 몇 개로 나뉘었는지. 과거 분량은 전체의 어느 정도인지. 대사와 지문 비율 인상적인 문장, 주요 대사 등
⑧ 절단신공 : 한 회차를 어떻게 마무리하는지 확인하자. 연독률을 높이기 위한 이 작품만의 방법이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

<CHECKPOINT. 트렌드 분석 유의 사항>
무조건 따라 쓰지 말 것(뻔한 글이 될 수 있다.)
트렌드가 중요한 만큼 위험하다. (표절 한 끝 차이)
그럼에도 트렌드는 꼭 분석해야 한다.

웹소설 성공 패턴

1) 키워드
▶ 무조건 팔리는 시대 흐름에 맞는 키워드 넣기
① 회귀, 빙의, 환생
▶ 일명 ‘회빙환’으로 줄여 불리는 회귀, 빙의, 환생은 로맨스 판타지와 현대 판타지, 판타지에서 즐겨 쓰는 설정이다.
▶ ‘회빙환’ 소재를 이용하면 현생이 힘들거나 실패하거나 억울하게 죽임을 당한 인물에게 새로운 삶을 부여함으로써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하는 스토리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독자들이 대리 만족을 느낄 수 있게 해 준다.
회귀 – 캐릭터가 과거로 돌아가서 자신의 삶을 다시 반복하게 되는 설정
빙의 – 캐릭터가 어떠한 계기로 인해 자기 자신이 아닌 다른 존재의 몸에 들어가게 되는 설정
환생 – 죽은 사람이 다시 태어나는 설정

② 계약
▶ 신적인 존재와의 계약, 혹은 특정 인물과의 계약으로 독자의 흥미를 일으키는 설정
여성향 장르 키워드 : 계약 연애, 계약 결혼, 선 결혼 후 연애 등으로 흘러가는 설정
남성향 장르 키워드 : 게임 시스템, 초월자와의 암묵적인 계약이 주를 이루는 설정

③ 영원한 클리셰
▶ 위기에 처한 여자를 구해주는 남자 주인공
여성향 로맨스 : 여주인공이 부모의 빛, 억울한 누명 등 다양한 위기에 처해 있을 때 남주인공이 해결해주거나 구해주며 사랑에 빠지는 설정
남성향 로맨스 : 남주인공의 영웅적인 측면을 보여주는 설정
▶ 처음엔 몰랐는데 알고 봤더니 능력자
환경의 문제로 인해 아직 성장하지 못한 인물로 시작하지만, 결국 주인공에게는 잠재적 능력이 있다. 따라서 어떠한 계기가 생기기만 한다면 주인공은 내재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는 설정 또는 주인공은 절대 죽지 않는다는 설정(회귀, 빙의, 환생이 이 같은 설정에 해당한다.)
▶ 두 사람은 반드시 서로 좋아하게 된다.
▶ 우연의 연속으로 재회
우연이 반복되면 필연 필연은 결국 운명론을 얘기한다. 운명은 웹소설에서 추구하는 가치관이며 주인공과의 관계와 이야기의 긴장감 등 모든 것을 통합하는 수식어다.

2) 줄거리(스토리텔링)
▶ 서사의 기본인 권선징악으로 풀기
▶ 불변의 법칙. 권선징악은 대중 문학을 관통하는 중요한 가치관으로 이 가치관은 영화, 드라마, 웹툰, 웹소설에 이르기까지 매체를 막론하고 끊임없이 반복되고 있다. 그런데도 진부한 클리셰라고 불리지 않는다. 따라서 문화콘텐츠가 계속 제작되는 한 영원히 사용될 것이다.

3) 결말
▶ 무조건 해피엔딩으로 설정
▶ 소설 속 주인공의 해피엔딩을 바라는 독자들의 심리는 현실 세계와 다른 대리 만족을 얻고자 함이다.

 

이처럼 웹소설 작가 되기, 트렌드와 클리셰 분석하기에 관해 알아보았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함께 보면 유용한 글

 

 

웹소설 작가되기, 웹소설 장르

웹소설 작가되기, 웹소설 장르에 관한 글입니다. 언제가 됐든, 잘팔리는 웹소설 작가가 되고 싶으시다면, 끝까지 꼼꼼히 읽어주세요. 그럼 지금부터 웹소설 작가되기 웹소설 장르에 대해 풀어

weblove.tistory.com

 

웹소설 작가되기 두번째, 웹소설 개념

웹소설 작가되기 웹소설 개념에 관해 공유하겠습니다. 이 글을 전체적으로 읽고 나면 웹소설 작가되기 웹소설 개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언제가 됐든, 잘팔리는 웹소설 작가가

weblove.tistory.com

 

 

 

이 글이 유익했다면, 하트(공감), 댓글, 구독을 부탁드려요. (/ω\)
블로그를 유지 운영하는데 기쁨이 됩니다. (◕▽◕)






반응형